본문 바로가기

Web5

개발은 기술이 아니라 공감이다 웹 개발은 인간을 위한 언어를 만드는 작업이다 이 말이 낯설게 들릴 수 있지만, 웹 개발의 본질은 인간의 욕망과 소통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왜 웹사이트를 만들고, 코드를 짜며, 사용자 경험을 고민할까요? 단순히 작동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 이면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 이해, 공감이라는 인문학적 욕망이 존재합니다. 웹은 현대의 광장이다 고대 그리스에는 **아고라(agora)**라는 광장이 있었습니다.시민들이 모여 토론하고, 소식을 나누고, 사회를 움직이던 공간이죠. 오늘날 우리는 그 광장을 웹에서 찾습니다.블로그, 유튜브, 커뮤니티, SNS…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디지털 광장으로서 ‘표현의 자유와 연결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을 만드는 사람이 .. 2025. 6. 25.
로그인 유지의 핵심 기술, 세션(Session) 세션(Session)의 개념세션(Session) 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해 있는 동안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기억하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HTTP는 기본적으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나 장바구니 등 상태 유지를 위해 세션이 사용됩니다.📌 쉽게 말해, 세션은 "서버가 사용자 상태를 기억하기 위한 수첩"입니다. 세션의 동작 원리세션은 쿠키와 함께 동작합니다. 서버는 사용자에게 고유한 세션 ID를 부여하고, 이를 쿠키로 브라우저에 저장시킵니다. 이후 사용자가 요청할 때마다 해당 세션 ID를 통해 상태 정보를 조회합니다. 🔁 세션 처리 흐름도사용자가 로그인 요청을 보냄서버가 세션 ID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를 저장세션 ID를 응답 쿠키(Set-C.. 2025. 6. 21.
웹 쿠키란? 브라우저 쿠키, 세션, 캐시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 웹 브라우저는 어떻게 내 로그인 상태를 기억할까?자주 들어가는 페이지는 왜 더 빨리 열릴까?그 비밀은 바로 쿠키(Cookie), 세션(Session), 캐시(Cache)에 있습니다. 쿠키가 무엇일까 웹사이트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에 기록하는 작은 데이터 파일예를 들어, 네이버에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하거나,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을 기억하는 것도 모두 쿠키 덕분입니다. 쿠키의 실제 사용 예시 🔑자동 로그인 유지구글,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의 자동 로그인 기능 🛒 쇼핑몰 장바구니쿠팡, 11번가 등 상품을 담고 나중에 다시 접속해도 그대로 유지되는 기능 ⚙️ 다크모드 / 언어 설정티스토리, 유튜브 등 테마 설정 기억하기 📺 맞춤형 광고 노출특정 쇼핑몰에서 본 제품의 광고가 다른 .. 2025. 6. 20.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 웹개발을 배우다 보면 "React는 라이브러리야", "Vue는 프레임워크야"라는 말을 듣게 됩니다.그런데 정작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가 뭐가 다른지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죠심지어 경험 있는 개발자들도 이 두 용어를 헷갈려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오늘은 이 두 개념을 실생활 예시로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라이브러리란?내가 필요할 때 가져다 쓰는 도구 상자집에서 가구를 조립한다고 생각해봅시다.도구 상자에는 드라이버, 망치, 렌치 등 다양한 도구가 들어있습니다.나사를 조일 때는 드라이버를 꺼내 쓰고못을 박을 때는 망치를 꺼내 쓰고볼트를 조일 때는 렌치를 꺼내 씁니다.중요한 점은 내가 언제,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 결정한다는 것입니다.도구들은 가만히 상자에 있다가 내가 부를 때만 나와서 일을 도와줍니다. 라이브러리.. 2025. 6. 19.